
위 차트는 ‘10년물 물가연동국채(TIPS)’로 우리가 ‘실질금리’로 알고 있는 지수다.
비록 작년 3월에 반짝 상승을 했지만 코로나19가 전세계를 잠식하기 시작한 같은해 1월말부터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특히 미 연준이 양적완화(QE)를 시행한 3월 이후에는 더 하락했다.
이 실질금리를 추산하기 위해서는 명목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을 알아야 한다. 왜냐면 명목금리에 기대인플레이션을 뺀 것이 바로 실질금리이기 때문이다. 현재 명목금리는 1.48, 기대인플레이션은 2.40이므로 실질금리는 -0.96(마이너스)가 되겠다.
전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처가 미국 채권(10년)이지만 국채시장에서의 기대인플레이션이 채권보다 더 높다면, 즉 채권금리보다 물가가 더 높다면, 채권(돈)을 보유하는게 사실상 마이너스 이므로 채권에 투자할 필요가 없다.
그래서 시장참여자들은 더 큰 수익을 찾는데 그 대체자산 중 하나가 바로 ‘암호화폐’인 것이다. 이 실질금리만 마이너스면(엄밀히 말하면 금융경제정세가 마이너스 실질금리로 유지만 해주면) 암호화폐의 상승국면의 불씨는 계속 살아있을 것이다.
코인 호재ㆍ악재ㆍ속보 - MBMPOST
https://t.me/mbmpostcom
'MBM 컬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트코인 가상화폐 분석이 있는 아침 12월 23일 (0) | 2021.12.23 |
---|---|
< 기존 삼각수렴 지속 vs. 찐반등의 서막 > (0) | 2021.12.21 |
< 우리의 12월은 지난 5월 하락때처럼 되서는 안 된다! > (0) | 2021.12.14 |
GXChain(레이)공식 텔방 Q&A (0) | 2021.12.13 |
< 현물 및 선물 거래소로 나눠본 입금 추세 > (0) | 2021.12.10 |
댓글0